나중에 다시 경기를 벌여 게임을 끝내야 하는 일시 중지된 게임. 갑자기 비가 오거나, 또는 날이 어두워졌을 때 서스펜디드 게임이 생긴다. 심판이 결정한다. 콜드 게임 중의 하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스펜디드게임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이태신)
Q6. 해괴망측한 사람을 비유하는 속담은?
1. 새벽에 난 도깨비
2. 낮에 난 도깨비
3. 밤에 난 도깨비
낮에 난 도깨비[도둑]
1. 해괴망측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Q7. 아사이베리는 야자수 열매이다.
1. O
2. X
아사이베리 [ Acai Berry ]
아사이베리(Acai Berry, Euterpe Oleracea)는 브라질 북부 아마존 열대 우림지역 인근에 자라는 야자수 열매이다. 이 야자수는 전 세계에서 서식하는 약 2,500종의 야자수 중에서 특별한 야자수로 분류된다.
아사이베리는 브라질 원주민들이 '생명의 나무 열매'라고 부를 정도로 유명하다. 둥글둥글한 모양의 아사이베리는 맛있는 과즙과 구슬 같은 씨가 있다. 맛은 딸기와 초콜릿을 합한 맛으로 달면서 맛이 독특하다. 또한 보라색이 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보기에도 좋다. 일년 내내 열매를 맺지만 7∼12월에는 더 많은 열매를 맺는다.
Q8. 두 개의 우주선이 같은 궤도로 우주에서 만난 후 나란히 비행하는 것을 뜻하는 말은?
1. 랑데부
2. 자메뷰
3. 앙상블
랑데부 [ rendez-vous ]
회합 ·데이트란 뜻의 프랑스어이나 해군용어로는 함정을 한 장소에 집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제미니 위성선과 무인 아제나 위성선을 접근시켜 도킹하는 과정에서 랑데부기술이 향상되어 후에 아폴로계획에서 모선(母船)과 달 착륙선과의 랑데부에 자주 활용되었다. 우주정거장을 건설하는 경우 랑데부와 도킹은 필수의 절차로 인식되고 있다.
1960년대는 미 ·소간의 우주경쟁시대였으나, 1975년 7월 미 ·소 양국의 우주선이 지구궤도상에서 랑데부 ·도킹에 성공함으로써 우주개발이 협력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세계 최초로 랑데부에 성공한 것은 1965년 3월 15일 미국 2인승 우주선 제미니 6호와 7호로, 정밀한 고속도 컴퓨터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랑데부 [rendez-vous] (두산백과)
Q9. 국민의 평균 생활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지표로 국민총소득을 나타내는 것은?
1. GDP
2. GNP
3. GNI
4. PPP
국내총생산 (GDP) - Gross Domestic Product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국내총생산'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의 생활 수준이나 경제성장률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지표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내총생산(GDP)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국민총생산 (GNP) - Gross National Product
한 나라의 거주자가 일정 기간 동안에 생산한 모든 재화와 용역을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생산과정에서 마손된 고정자산의 소모분(고정자본소모충당금)을 포함한 개념이며 시장가격으로 평가되었다는 점에서 ‘시장가격에 의한 국민총생산’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거주자의 생산이라 함은 한 나라의 거주자가 국내는 물론 국외에 제공한 생산요소에 기인하는 생산을 뜻하는 것으로 비거주자의 생산요소 공급에 의한 생산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생산의 의미는 총산출액에서 각 산업에 투입된 중간 생산물을 공제한 최종 생산물의 총액을 뜻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GNP (매일경제, 매경닷컴)
국민총소득 (GNI) - Gross National Income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 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로서, 실질적인 국민소득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한 소득지표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國民總所得] (두산백과)
구매력평가 (PPP) - Purchasing Power Parity
구매력평가는 환율과 물가상승률의 관계를 말해주는 개념으로 보통 절대적 구매력평가, 상대적 구매력 평가로 나누어 설명한다. 절대적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을 전체적인 물가수준에 대해 확대 적용시킨 것으로 한 국가의 물가수준이 다른 국가의 물가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냐 낮으냐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