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5. 행운은 우연히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바랐던 일이 필연적으로 현실에 나타난다는 경험 법칙은?
1. 머피의 법칙
2. 줄리의 법칙
3. 샐리의 법칙
머피의 법칙 [ Murphy's law ]
요약 일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갈수록 꼬이기만 하는 경우에 쓰는 용어.
[네이버 지식백과] 머피의 법칙 [Murphy's law] (두산백과)
줄리의 법칙 [ Jully's law , -法則 ]
요약 간절히 원하는 일은 언젠가는 이루어진다는 일종의 경험법칙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줄리의 법칙 [Jully's law, -法則] (두산백과)
샐리의 법칙 [ Sally's law ]
요약 계속해서 자신에게 유리한 일만 일어남을 뜻하는 용어.
[네이버 지식백과] 샐리의 법칙 [Sally's law] (두산백과)
Q6. 재벌을 영어로 하면 Chaebol이다.
1. O
2. X
재벌 (財閥)
conglomerate; (한국의) chaebol; (일본의) zaibatsu
Q7. 우리은행의 창립 120주년을 기념해 예금상품 가입시 1등에게 황금 120돈 등 풍성한 경품을 드리는 이벤트는?
1. 어게인 1899
2. 여보세요 1899
3. 응답하라 1899
Q8. 다음 중 가장 작은 숫자는?
1. π
2. e
3. 2!
π = 3,14
e = 2.71
2! (2팩토리얼) = 2X1 = 2
※ 2! < e < π
Q9. 2017년 초, 영국의 푸드트럭 회사 로더리는 [ ]로/으로 덮인 햄버거를 판매했다.
1. 24K 금
2. 로얄 샬루트
3. 담수 진주
영국 푸드트럭 회사 로더리(Roadery)가 이달 말 두바이에서 ‘금햄버거’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7일(현지시간) 로더리에 따르면 이 버거는 23일~25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리는 음식 축제에서 선보일 예정으로 고급 쇠고기 와규로 만든 패티가 치즈, 푸아그라 등 다른 재료와 함께 5단으로 쌓아진 뒤 24K 금박으로 덮힌 브리오슈 번이 꼭대기에 올라가있다.
이 버거는 두바이 세계 최고 빌딩 ‘부르즈(burj) 칼리파’ 이름을 따 ‘버그(burg) 칼리파’로 이름 지었고, 가격은 230디르함(약 7만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Q10. 경제가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도 물가상승은 거의 없는 이상적인 상태를 가리키는 '골디락스'는 어디에서 유래되었나?
1. 유명 회사 사장의 이름
2. 경제학 교수의 이름
3. 동화 속 주인공 이름
골디락스
골디락스(goldilocks)의 의미는 황금색의 머릿결이다. 골디락스는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 주인공인 금발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골디락스가 어느 날 숲 속에 들어갔다 길을 잃고 헤매다 오두막을 발견했다. 이 오두막의 주인은 세 마리의 곰(아기 곰, 엄마 곰, 아빠 곰)이다. 세 마리 곰은 외출하고 집에 없었다. 오두막에 들어간 골디락스는 식탁에 차려 놓은 세 그릇의 수프를 발견했다. 하나는 막 끓여 놓은 뜨거운 수프이고, 하나는 식어서 차가운 수프이고, 다른 하나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먹기에 적당한(just right, not too hot and not too cold)"수프였다. 허기에 지쳐있던 골디락스는 이 가운데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먹기에 적당한 수프를 먹었다. 피곤했던 골디락스는 수프를 먹은 후 온 몸이 나른해지며 졸리기 시작했다. 골디락스가 부엌 옆의 침실을 열어보니 세 개의 침대가 보였다. 하나는 아주 딱딱한 침대이고, 하나는 쿨렁거리는 부드러운 침대이고, 하나는 너무 딱딱하지도 않고 너무 부드럽지도 않은 적당한 탄력을 가진 침대였다. 그녀는 이 가운데 너무 딱딱하지도 않고 너무 부드럽지도 않은 적당한 탄력을 가진 침대를 골라 낮잠에 빠졌다. 세 마리의 곰이 집에 돌아와 보니 누군가가 자기들이 준비한 음식 가운데 제일 좋은 음식을 먹어버렸고, 낯 모르는 소녀가 제일 좋은 침대에서 자고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화가 난 곰들이 버럭 소리를 질렀다. 골디락스는 놀라서 깨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골디락스 - 적당한 경제 (경제학 주요개념)
Q11. 다음 중 가치가 폭등해 거래가가 가장 높은 동전은?
1998년도 500원짜리 동전의 가치가 200만 원에서 250만 원을 호가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IMF 당시 동전 모으기 운동할 때 주화 가치가 컸던 500원 동전이 많이 들어 왔었고 그로 인해 한국은행은 500원 주화를 발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 기념 주화로만 8천 개만 발행했습니다. 동전 수집가들 사이에서는 엄청 희소가치가 있어 동전의 가치가 무려 4천 배가 뛴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