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토(pesto)는 “찧다 혹은 빻다(pound), 부수다(crush)”의 뜻을 가진 이탈리아어 ‘페스타레(pestare)’와 제노바(Genoa)의 방언 ‘페스타(pestâ)’에서 파생된 말이다. ‘페스타레(pestare)’ 역시 “막자(pestle)”를 의미하는 라틴어 ‘페스틸리움(pestillium)’에서 유래된 말로, 바질(basil)을 막자사발(mortar and pestle)에 빻아 만드는 요리의 특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페스토(pesto)는 1876년 조반니 카사치아(Giovanni Casaccia)가 쓴 『제노바의 이탈리아어 사전(Genoese Italian Dictionary)』에 현지에서 쓰는 단어 중 하나로도 소개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페스토 (세계 음식명 백과, 마로니에북스)
Q9. 축구에서 전/후반의 정규 경기 시간 이후 추가로 허용되는 시간은?
1. 골든 타임
2. 피버 타임
3. 인저리 타임
4. 보너스 타임
골든 타임[ golden time ]
방송에서 하루 중에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대.
인저리 타임 [ injury time ]
축구경기에서 전·후반 45분의 정규시간 이후 주심이 재량에 따라 추가로 허용하는 시간.
[네이버 지식백과] 인저리 타임 [injury time] (두산백과)
Q10.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지 못한다
1. O
2. X
고양이 혀와 미각
고양이 혀에는 가시 모양의 돌기 300~400여 개가 빼곡하게 차 있어 뼈에 붙어 있는 고기를 분리하는데 유용하다.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지는 못하지만 상한 음식을 판별할 수 있도록 쓴맛을 느끼는 감각은 발달돼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양이 혀와 미각 - 고양이는 오미(五味)를 느낄 수 있을까? (다시 쓰는 고양이 사전)
Q11. 양궁에서 <로빈 후드>는 무엇을 맞추었을 때 하는 말일까?
1. 머리 위 사과
2. 앞서 꽃힌 화살
3. 움직이는 과녁
한국 여자 양궁 국가대표팀의 새내기 궁사 정다소미(21·경희대)가 첫 국제대회에서 '로빈 후드(Robin Hood)'를 쏘아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정다소미는 4일(한국시간) 크로아티아 포레치에서 열린 국제양궁연맹(FITA) 1차 월드컵에서 사거리 30m 경기를 하던 중 과녁에 꽂힌 화살의 뒤를 명중하는 신기를 뽐냈다.
그것도 10점 과녁에서도 정중앙부를 표시하는 지름 4㎝의 엑스텐(X-10) 구역을 명중한 화살의 뒤를 정확히 때린 것이었다.
로빈후드는 선수들이 훈련 때 워낙 많은 화살을 쏘다보니 한 두 차례씩 경험하곤 하지만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몰리는 국제대회 실전에서는 보기 어렵다.
2010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재임할 캘리포니아의 주지사를 선출하기 위해 2010년 11월 2일 열렸다. 현직 주지사였던 아널드 슈워제네거는 1990년 제정한 연임 제한 규정으로 출마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75년부터 1983년까지 재임했기 때문에 이 규정에 적용받지 않는 전직 주지사 제리 브라운이 민주당 소속으로 재출마하였다. 이에 맞서 공화당은 이베이 CEO를 지낸 여성 기업인 메그 휘트먼을 후보로 내세웠다. 당초 여론조사에서는 두 후보가 접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선거 결과 브라운이 휘트먼을 다소 큰 격차로 꺾고 3선을 하게 되었다. 이 선거는 같은 날 치러진 연방 상원의원 선거와 함께 큰 주목을 받았다.
출처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2010%EB%85%84_%EC%BA%98%EB%A6%AC%ED%8F%AC%EB%8B%88%EC%95%84_%EC%A3%BC%EC%A7%80%EC%82%AC_%EC%84%A0%EA%B1%B0)
Q13. 2018년 12월부로 징병제가 종료된 나라는?
1. 태국
2. 대만
3. 이스라엘
대만 징병제 종료(2018)
1951년부터 징병제를 실시해온 대만에서 2018년 12월 26일로 67년 만에 해당 제도가 종료됐다. 즉, 2018년 12월 26일 대만 징병제의 마지막 의무 복무자 412명이 모두 제대하면서 징병제가 종료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만 징병제 종료(2018)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Q14. 파인애플이 올라간 하와이안 피자를 처음 만든 곳은?
1. 캐나다
2. 뉴질랜드
3. 하와이
하와이안 피자(Hawaiian pizza)는 일반적으로 치즈, 토마토, 햄, 파인애플으로 구성된 피자이다. 미국 하와이에서 탄생한 피자로 생각할 수 있으나 1962년에 캐나다의 'Satellite Restaurant' 에서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C%99%80%EC%9D%B4%EC%95%88_%ED%94%BC%EC%9E%90)
Q15. iPad(아이패드)를 처음 출시한 회사는?
1. 애플
2. 소니
3. 후지쯔
4. 노키아
후지쯔, 아이패드 상표 애플에 양도
'애플의 획기적 태블릿 PC인 '아이패드'란 이름은 2주전만 해도 후지쯔의 것이었다.'
씨넷은 26일(현지시간) 이날 자로 올라 온 '특허당국(PatentAuthority)'이란 블로거 글을 인용, 미특허청상표기록을 확인한 결과 후지쯔가 아이패드 상표를 3월17일자로 공식양도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패드란 이름을 처음 발표했을 때 이미 후지쯔가 이 상표등록을 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양측은 협상을 통해 터치스크린 태블릿인 '아이패드'의 이름을 미국내 공식 발매일인 다음 주(4월3일)부터 판매할 수 있게 됐다.
비록 이 사실은 공표되지 않았지만 후지쯔가 어떤 방식으로든 상표양도에 따른 보상을 받았음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이에 따르면 후지쯔는 지난 2003년부터 아이패드 상표권을 소유하고 있었다.
아이패드 상표양도 사례는 애플이 법적인 수단을 통해서 원하는 상표를 손에 넣어야 했던 최초의 사례가 아니다.
애플은 최초로 아이폰을 내놓았을 때에도 원래 시스코가 갖고 있었던 아이폰 상표와 관련해 소송을 하겠다고 1주일 정도 기다린 적이 있었다.
출처 : 지디넷 코리아 (http://www.zdnet.co.kr/view/?no=201003271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