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학교가기 싫은 사람 공부하기 싫은 사람 모여라"로 시작하는 송골매의 노래는?
1. 모여라
2. 눈코입
3. 모지리
Q2. 매년 MBC가 개최하는 아이돌 스타 육상 선수권 대회는?
1. MAMA
2. 아육대
3. 다육이
Q3. <다낭, 쌀국수, 박항서>와 연관된 나라는?
1. 베트남
2. 스리랑카
3. 스와질랜드
Q4. "올해, 뉴욕에서는 3월 1일이 '3·1운동의 날'로 공식 지정됐다."
1. O
2. X
문제 해설 그만 보기
미국 뉴욕주(州) 의회가 100주년을 맞은 3·1운동과 유관순 열사의 정신을 기려 올해 3월 1일을 '3·1운동의 날'로 지정하는 결의안을 채택 했다. 뉴욕 주의회는 15일(현지 시각) 상원의원 63명, 하원의원 150명 만장일치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출처 :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7/2019011700340.html
그만 보기
Q5. 나이보다 매우 젋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은?
1. 백발홍안
2. 백발마녀
3. 백이면백
문제 해설 그만 보기
白髮紅顔 [백발홍안]
센머리에 소년(少年)처럼 붉은 얼굴
머리털은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소년처럼 붉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발동안.
그만 보기
Q6. 배우 오드리 헵번에 대해 틀린 정보는?
1. 자선가
2. 영국 출신
3.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
문제 해설 그만 보기
오드리 헵번 [ Audrey Hepburn ]
본명 : Audrey Kathleen Ruston
출생 - 사망 : 1929.5.4 ~ 1993
출생지 : 벨기에 브뤼셀
사망지 : 스위스 톨로셰나
스타성 : 멍해질 정도의 아름다움, 애쓰지 않고도 웃김, 패션 아이콘, 청춘의 매력, 박애주의자, 아
[네이버 지식백과] 오드리 헵번 [Audrey Hepburn] (501 영화배우, 2008. 8. 29., 마로니에북스)
그만 보기
Q7. 국내 맞벌이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2017년 KOSIS 기준)
1. 서울
2. 전남
3. 제주
문제 해설 그만 보기
지역별로는 제주지역 의 맞벌이 비율이 61.4%로 가장 높았고 , 전남(58.4%)과 충북(53.8%)이 그 뒤를 이었다. 통계청은 이번 결과에 대해 농림어업과 도소매, 숙박음식점업이 많은 지역의 맞벌이 비율이 높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출처 : 데일리안
http://www.dailian.co.kr/news/view/579090/?sc=naver
그만 보기
Q8. "우아한 몸맵시와 나직한 목소리에 위품이 느껴졌다." 틀린 표현은?
1. 몸맵시
2. 나직한
3. 위품
4. 없음
문제 해설 그만 보기
그만 보기
Q9. 인류최초의 사이보그 '닐 하비슨'은 색을 ( )로 인지한다. 빈칸은?
1. 냄새
2. 촉감
3. 소리
문제 해설 그만 보기
결국 그는 전자 눈을 자신의 후두골에 이식했고, 무사히 수술을 마친 후 360개의 색깔을 소리로 들을 수 있게 됐다 . 기분이 좋은 날에는 C메이저 음계의 옷을 입는 등 소리로 색을 인식하는 방식에 점차 익숙해 졌다. 자외선 정도를 느낄 수 있기도 하고, 노래나 소리 역시 색으로 느낄 수 있게 돼 노래를 듣고 그린 그의 그림은 독특한 색감을 자랑했다.
이후 영국 정부가 전자 눈을 단 그의 사진을 여권 사진으로 인정하면서 그는 세계 최초의 사이보그가 됐다.
출처 : 티브이데일리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5425086341415196019
그만 보기
Q10. 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은?
1. 자취눈
2. 싸리눈
3. 자국눈
문제 해설 그만 보기
자취눈
[명사] ‘자국눈(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의 잘못.
싸리눈
[명사] ‘싸라기눈(빗방울이 갑자기 찬 바람을 만나 얼어 떨어지는 쌀알 ...)’의 방언(강원).
자국눈 [자궁눈]
[명사] 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
그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