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는 주로 사람의 기세를 비유하는 말로 써요. 어떤 사람이 잘난 체하고 뽐내면 ‘코가 높다’고 말하고, 몹시 무안을 당하거나 기가 죽어 있으면 ‘코가 납작해졌다’고 해요. 또, 근심이 많아 축 처져 있으면 ‘코가 빠졌다’고 하지요.
‘자’는 옛날에 길이를 나타낼 때 쓰던 단위로, 한 자는 약 30.3cm예요. 그런데 ‘내 코가 석 자’라면 코가 90cm 정도로 길게 빠져 있다는 얘기겠죠?
[네이버 지식백과] 내 코가 석 자다 (국어 교과서도 탐내는 맛있는 속담, 2007. 9. 17., 웅진주니어(웅진씽크빅))
Q8.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독도의 옛이름은?
1. 우산도
2. 울릉도
3. 석도
세종실록지리지(세종14, 1432년) [世宗實錄地理志-]
이 자료는 조선왕조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영유의지를 나타내는 것이어서 대단히 주목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우산(于山)과 무릉(武陵) 2섬이 울진현 정동(正東)바다 가운데 있다고 하면서, 2섬이 서로 거리가 멀지 아니하여, 날씨가 맑으면 가히 바라볼 수 있다. (···) 우리 태조 때, 유리하는 백성들이 그 섬으로 도망하여 들어가는 자가 심히 많다함을 듣고, 다시 삼척 사람 김인우(金麟雨)를 안무사(安撫使)로 삼아서 사람들을 쇄출(刷出)하여 그 땅을 비우게 하였는데, 인우가 말하기를, "땅이 비옥하고 대나무의 크기가 기둥 같으며, 쥐는 크기가 고양이 같고, 복숭아씨가 되[升]처럼 큰데, 모두 물건이 이와 같다" 하였다. 이는 조선왕조가 15세기 초부터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영토로 관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Q10. 2020년 만료 예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며 그 이후의 대응을 담은 기후변화협약은?
1. 모스크바 협정
2. 파리 협정
3. 헬싱키 협정
모스크바 협정 - 한국에 관한 결정 (Moscow Agreement)
한국에 대한 신탁 통치가 결정되다
〈모스크바 협정〉은 1945년 12월 16일부터 25일까지 미국·영국·소련 3국의 외무 장관이 참석한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채택된 협정으로, 애매모호했던 한국에 관한 국제적 논의를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안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모스크바 협정 - 한국에 관한 결정 [Moscow Agreement] - 한국에 대한 신탁 통치가 결정되다 (세계를 바꾼 연설과 선언, 2006. 1. 15., 서해문집)
파리기후협정 (Paris Climate Change Accord)
2015년 12월 12일 파리에서 열린 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본회의에서 195개 당사국이 채택한 협정.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주도로 체결된 협정이다.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지구 평균온도가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헬싱키 협정은 1975년 7월부터 8월 사이에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된 유럽 안보 협력 회의(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CSCE)에서 채택된 최종 합의 문서이다.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설립 배경이 된 문서이기도 하다.
이 협정은 소련을 포함한 유럽 33개국, 미국, 캐나다 35개국 정상이 서명했다. 협정에 참여한 국가들은 〈유럽 안보의 기초와 국가간 관계 원칙에 관한 일반적인 선언〉으로 명명된 최종 문서에 조인하였다. 많은 국가들이 이 조약을 승인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0년에 걸친 유럽 지역에서의 냉전은 종결되었다.
출처 : 위키백과 '헬싱키 협정'
Q11.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 왕자의 초상 <연잉군 초상>은 어떤 왕을 그린 것일까?
1. 인조
2. 연산군
3. 영조
연잉군초상 (延礽君肖像)
연잉군 초상. 영조임금(재위 1724~1776년)의 연잉군(延礽君)시절인 21세 때의 초상. 조선 1714년, 보물 제1491호. 1954년 화재로 일부 소실된 상태이다. 족자, 비단에 채색. 화면 세로: 150.1, 가로: 77.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국립고궁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 연잉군초상 [延礽君肖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미지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Q12. 역사적 사건이 시간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병인양요-강화도조약-갑신정변
2. 갑신정변-병인양요-강화도조약
3. 강화도조약-갑신정변-병인양요
병인양요 (丙寅洋擾)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의 천주교도 학살 ·탄압에 대항하여 프랑스함대가 강화도에 침범한 사건.
강화도조약 (江華島條約)
1876년(고종 13) 2월 강화부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조약의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이며, 강화조약(江華條約) 또는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이라고도 한다.
갑신정변 (甲申政變)
1884년(고종 21) 김옥균(金玉均)을 비롯한 급진개화파가 개화사상을 바탕으로 조선의 자주독립과 근대화를 목표로 일으킨 정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