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낮말은 [ ]이/가 듣고 밤말은 [ ]이/가 듣는다. 빈칸에 순서대로 들어갈 말은?
1. 예서, 김주영
2. 새, 쥐
3. 잼누나, 잼아저씨
Q2. 다음 중 견종 시츄는?
Q3. This is ( ). = 아무 맛도 안나. 괄호 안에 단어는?
1. tasteless
2. good
3. delicious
Q4. 한국 전쟁 당시, 부대찌개를 지칭했던 또 다른 이름은?
1. 심슨탕
2. 존슨탕
3. 잭슨탕
부대찌개 [ budae jjigae / Spicy Sausage Stew ]
대찌개란 '군대의 찌개'란 뜻으로, 서구의 스튜처럼 진한 한국의 국물 요리이다. 6·25전쟁 직후 서울에서 음식이 부족하여 일부 사람들이 의정부시에 주둔하던 미국부대에서 쓰고 남은 햄과 소시지 등 잉여 음식을 이용하여 끓여 먹었던 찌개이다. 이 당시에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의 성을 따서 '존슨탕' 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태종은 왕위에 있으면서 늘 아버지 때문에 마음이 아팠습니다. 그래서 용서를 빌고 다시 궁궐로 모시려고 신하를 함흥으로 보냈습니다. 이 일을 맡은 신하에게는 ‘차사’라는 벼슬을 주었습니다. 차사란 중요한 일을 위해 파견하던 임시직이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차사가 오면 말도 꺼내기 전에 활을 쏘아 모두 죽여 버렸습니다. 이때부터 한 번 가면 돌아오지 않는 사람을 가리켜 ‘함흥차사’라고 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함흥차사 (속담 하나 이야기 하나, 2014. 03. 10.)
Q6. 뚜렷한 호재가 없어도 주가가 다른 달에 비해 많이 오르는 주식시장의 특이현상을 일컫는 말은?
1. 1월 효과
2. 8월 효과
3. 12월 효과
1월 효과 [ january effect , 一月效果 ]
주가가 뚜렷한 이유도 없이 월별·월중·일별 등 일정한 시기에 따라 강세나 약세를 보이는 '계절적 이례 현상' 가운데 하나로, 1월의 주가 상승률이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1월 효과 [january effect, 一月效果] (두산백과)
Q7. 영국 영해에 사는 모든 고래, 돌고래는 여왕의 것이다.
1. O
2. X
영국에 사는 모든 고래, 돌고래는 여왕의 것이라는 특권이다. 1324년 에드워드 2세의 칙령에 따라 영국 영해에 사는 돌고래, 고래, 상어의 소유는 모두 왕에게 귀속됐다. 템즈강의 백조도 여왕 소유다.
Q10. 오늘날 표준이 되는 피아노는 [ ]개의 페달과 [ ]개의 건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1. 2 / 88
2. 2 / 90
3. 3 / 88
4. 3 / 90
피아노 [ Piano ]
이탈리아어로 ‘부드럽고-강하게(soft-loud)’라는 의미인 ‘피아노포르테(pianoforte)’의 줄임말이다. 1709년 플로렌스(Florence)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가 발명했다. 오늘날 표준이 되는 피아노는 3개의 페달과 88개의 건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피아노 [Piano] (1%를 위한 상식백과, 2014. 11. 15.)